목록분류 전체보기 (29)
rigood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39~45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에피소드 39 인공지능, 머신러닝, 딥러닝, 아직도 구분하기 힘들다고? - 인공지능은 일반 인공지능(인간처럼 행동할 수 있으나 현실에 없음), 좁은 인공지능(특정한 분야의 일만 할 수 있음)으로 나뉜다. - 머신러닝은 인공지능을 학습시키는 방식을 일컫는다. 인간이 기계에게 준 자료를 바탕으로 기계가 학습하는 방식을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이라고 하고, 기계가 스스로 판단해 학습하는 방식을 비지도 학습(nonsupervised learning)이라고 한다. - 딥러닝은 머신러닝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많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코드이다. - 파이썬, 텐서플로 프레임워크를 통해 머신러닝을 배울 수 있..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35~38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에피소드35 비밀번호는 어떻게 저장될까? - 해시함수를 사용하면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다. - 해시함수는 입력값에 대해 무작위한 값을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 해시함수는 동일한 입력값에 대해 동일한 출력값을 가지며, 입력값이 살짝만 바뀌어도 출력값은 매우 크게 바뀌며, 한쪽 방향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반대로 입력해도 원래 값이 나오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 해시함수의 입력값과 출력값을 연결한 표를 레인보우 테이블이라고 한다. 레인보우 테이블이 유출될 수 있으므로 해시함수는 100% 안전하지 않다. - 비밀번호 입력값에 무작위 텍스트인 솔트(salt)를 합하여 해시함수를 통과시키면 레인보우 테이블이 있어도 원래 ..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30~34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에피소드31 데이터와 단짝 친구, SQL -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의 약자로,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하기 위한 구조화된 언어이다. -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역할만 하며, 실제로 데이터와 상호작용하기 위해서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을 이용해야 한다. - DBMS 종류에는 MySQL, PostgreSQL, Oracle, MariaDB 등이 있다. -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SQL 문법으로 명령어를 작성해야 한다. - 개발자들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SQL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ORM(Ob..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26~29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에피소드26 정렬 알고리즘이 뭐죠? - 시간복잡도는 같으면서 성능은 다른 3가지 정렬 알고리즘을 알아보자. ① 버블정렬 서로 인접한 두 원소를 비교하여 조건에 따라 자리를 바꿔나가는 정렬 방법, 한 사이클이 끝나면 마지막 위치에 있는 원소를 제외하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 가장 느리지만 이해하기 쉬운 방법 ② 선택정렬 가장 작은 데이터 또는 가장 큰 데이터의 위치를 따로 기억하여 한 사이클에 자리를 한번만 바꾸는 정렬 방법 ③ 삽입정렬 앞에 있는 데이터를 보면서 조건에 맞으면 데이터를 밀어 넣어 배치하는 정렬 방법 - 세가지 정렬 방법 모두 시간복잡도는 O(N^2)으로 같다. - 단순히 측정한 시간복잡도는 같지만, 초기 데..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22~25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에피소드2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필수라고? - 알고리즘이란 컴퓨터에게 내릴 지시사항을 나열한 것, 자료구조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찾기 위한 것 - 알고리즘의 속도를 표현할 때 시간복잡도를 사용한다. 시간복잡도란 프로그램의 작업속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작업이 얼마나 많은 단계를 거치는지 측정한다. 에피소드24 알고리즘의 속도는 어떻게 표현할까? - 빅오표기법이란 알고리즘으로 작업을 완료할 때까지 걸리는 절차 수를 이용하여 O(N), O(log N)과 같이 표현하는 방법이다. - 배열의 길이와 상관없이 늘 실행속도가 같으면 O(1) - 배열의 길이가 길어지면 시간이 비례하여 늘어나면 O(N) - 배열의 길이가 길어질 ..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16~21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에피소드16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사라진 이유와 브라우저 엔진 -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CSS와 AJAX 기술을 가장 먼저 지원한 브라우저였다. - 하지만 브라우저 시장을 독점한 이후 점점 업데이트가 느려지고 보안 취약점을 제때 해결하지 못했다. - HTML, CSS, JS의 표준안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브라우저 엔진'이라고 하는데, 이 엔진이 웹 브라우저의 성능을 결정한다. cf) CSS에서 webkit- 접두어가 붙은 속성을 사용할 때가 있는데, 사파리의 브라우저 엔진 이름이 바로 웹킷(webkit)이다. - 크롬, 사파리 등 최신 브라우저에 밀려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공식적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 MS사는 새로운 웹브라..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11~15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에피소드11)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점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는 누군가 미리 작성해놓은 코드로 개발 속도를 더 높여주는 도구이다. 라이브러리는 내가 필요할 때 가져다 쓰는 도구이며 주도권이 나에게 있다. 프레임워크는 제어권이 프레임워크에 있어서 프레임워크만의 코드 작성법, 파일 저장법 등 규칙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에피소드12) 제이쿼리는 반드시 배워야 하는 기술일까? 제이쿼리는 브라우저 호환성을 챙기면서도 코드를 깔끔하고 아름답게 만들어줬기 때문에 엄청난 유명세를 탔다. 에피소드13) 그놈의 API, 대체 뭐길래? AP란 프로그램끼리 소통할 때 쓰는 일종의 규칙을 코드화한 것이다. 예를 들어 화면에 버튼을 누르면 ..
오늘 읽은 범위: 에피소드 6~10 에피소드6 왜 나만 오류가 자주 생길까? -> 오류 메세지에 답이 있다. 오류메세지를 천천히 읽어보면서 내가 뭘 잘못 입력했나 꼼꼼히 확인하자. 에피소드7 파이썬은 왜 이렇게 인기가 많을까? -> 웹개발, 업무자동화, 인공지능, 머신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다. 코드가 난해하지 않고 영어와 비슷해서 친숙하다. 커뮤니티가 크고 활발해서 공부할 자료가 풍부하다. 에피소드8 파이썬이 c언어보다 느린 이유는? 파이썬은 인터프리터 언어이고, c언어는 컴파일 언어이기 때문이다. 인터프리터는 '동시 통역', 컴파일은 '도서 번역'으로 비유할 수 있다. 코드를 한 줄씩 실시간으로 기계어로 해석해주는 인터프리터 언어는 코드 전체를 한꺼번에 해석하는 컴파일 언어에 비해 상대적..